Terokai penukaran Hangeul-Hanja yang lancar dengan kamus dalam talian termaju kami. Kuasai watak Korea dan Hanja dengan ciri mesra pengguna yang direka untuk semua peringkat kemahiran. Masukkan Hangeul atau Hanja di bawah dan klik Cari.
Hangeul | Hanja | Penjelasan |
---|---|---|
가장귀창 | 가장귀槍 | |
가창 | 歌唱 | |
가창 | 街娼 | |
가창력 | 歌唱力 | |
가창면 | 嘉昌面 | 지명 |
각창 | 角窓 | |
간종창 | 肝腫脹 | |
감갑창 | 嵌甲瘡 | |
감살창 | 嵌殺窓 | |
감창 | 疳瘡 | |
감창 | 感愴 | |
감창사 | 監倉使 | |
갑저창 | 甲疽瘡 | |
갑창 | 甲窓 | |
강창 | 江倉 | |
강창원 | 姜菖園 | |
개개명창 | 箇箇名唱 | |
개방창 | 開放創 | |
개창 | 開倉 | |
개창 | 疥瘡 | |
개창 | 開創 | |
개창 | 開敞 | |
개창지 | 開敞地 | |
개창지 | 開創地 | |
객창 | 客窓 | |
객창한등 | 客窓寒燈 | |
거창 | 居昌 | |
거창 | 巨創 | |
거창군 | 居昌郡 | 지명 |
거창민란 | 居昌民亂 | |
거창사건 | 居昌事件 | |
거창읍 | 居昌邑 | 지명 |
것창 | 것窓 | |
겉보기팽창 | 겉보기膨脹 | |
겉창 | 겉窓 | |
격자창 | 格子窓 | |
겸창 | 鎌倉 | |
겹창 | 겹窓 | |
경기입창 | 京畿立唱 | |
경기좌창 | 京畿坐唱 | |
경선종창 | 頸腺腫脹 | |
경창 | 京唱 | |
경창 | 京倉 | |
경창 | 競唱 | |
계명창법 | 階名唱法 | |
계안창 | 鷄眼瘡 | |
계창 | 鷄唱 | |
계창 | 鷄窓 | |
고색창연 | 古色蒼然 | |
고실창 | 鼓室窓 | |
고정도창법 | 固定도창법 | |
고창 | 高唱 | |
고창 | 鼓脹 | |
고창 | 蠱脹 | |
고창 | 高敞 | |
고창 | 高昌 | |
고창 | 高窓 | |
고창 | 孤窓 | |
고창군 | 高敞郡 | 지명 |
고창기 | 高唱期 | |
고창싸움 | 古昌싸움 | |
고창읍 | 高敞邑 | 지명 |
고창읍성 | 高敞邑城 | |
고창입운 | 高唱入雲 | |
곡물창고 | 곡물倉庫 | |
곡창 | 穀倉 | |
곡창 | 穀脹 | |
곡창방통 | 曲暢旁通 | |
골저창 | 骨疽瘡 | |
골창 | 骨脹 | |
공기창 | 空氣窓 | |
공작창 | 工作廠 | |
공작창장 | 공작창長 | |
공창 | 工廠 | |
공창 | 公娼 | |
공창 | 空唱 | |
공창 | 公唱 | |
공창가 | 公娼街 | |
공창식 | 孔昌植 | |
공창제도 | 公娼制度 | |
관창 | 觀漲 | |
관창 | 官倉 | |
관창 | 官昌 | |
관창 | 寬敞 | |
관창봉 | 冠昌峰 | |
관통총창 | 貫通銃創 | |
광제창생 | 廣濟蒼生 | |
광창 | 光窓 | |
광창 | 廣窓 | |
광흥창 | 廣興倉 | |
굉창 | 宏敞 | |
교서관창준 | 校書館唱準 | |
교창 | 交窓 | |
교창 | 咬創 | |
교환창 | 交換唱 | |
구감창 | 口疳瘡 | |
구두창 | 口頭瘡 | |
구두창작 | 口頭創作 | |
구설창 | 口舌瘡 | |
구십구번창구 | 九十九番窓口 | |
구창 | 口瘡 | |
구창 | 灸瘡 | |
구창 | 俱唱 | |
구호창 | 口號唱 | |
국가제창 | 國家齊唱 | |
국민창안제 | 國民創案制 | |
국창 | 國唱 | |
군공창 | 軍工廠 | |
군기창 | 軍器廠 | |
군자창 | 軍資倉 | |
군창 | 軍倉 | |
굴창성 | 屈創性 | |
궁창 | 穹蒼 | |
궁창분합 | 궁창分閤 | |
궁창초 | 궁창草 | |
권응창 | 權應昌 | |
궤창 | 潰瘡 | |
궤창병 | 潰瘡病 | |
귀자창 | 貴字窓 | |
극창 | 劇唱 | |
금슬창화 | 琴瑟唱和 | |
금창 | 金瘡 | |
금창령 | 禁唱令 | |
금창산 | 金瘡散 | |
금창산 | 金昌山 | |
금창소초 | 金瘡小草 | |
금창약 | 금창藥 | |
금창초 | 금창草 | |
급창 | 及唱 | |
급팽창 | 急膨脹 | |
급팽창론 | 急膨脹論 | |
기기창 | 器機廠 | |
기병창 | 騎兵槍 | |
기수영창지곡 | 基壽永昌之曲 | |
기지창 | 基地廠 | |
기창 | 氣脹 | |
기창 | 起瘡 | |
기창 | 旗槍 | |
기창 | 騎槍 | |
기창 | 機窓 | |
기창교전 | 騎槍交戰 | |
기치창검 | 旗幟槍劍 | |
긴영창 | 긴映窓 | |
길이팽창계수 | 길이膨脹係數 | |
김석창 | 金碩昌 | |
김석창 | 金錫昌 | |
김창균 | 金昌均 | |
김창근 | 金昌根 | |
김창록 | 金昌祿 | |
김창룡 | 金昌龍 | |
김창숙 | 金昌淑 | |
김창식 | 金昌植 | |
김창업 | 金昌業 | |
김창조 | 金昌祖 | |
김창집 | 金昌集 | |
김창하 | 金昌河 | |
김창협 | 金昌協 | |
김창환 | 金昌煥 | |
김창환창본 | 金昌煥唱本 | |
김창흡 | 金昌翕 | |
김헌창 | 金憲昌 | |
깁창 | 깁窓 | |
꺾창 | 꺾槍 | |
꽃창포 | 꽃菖蒲 | |
나두창 | 癩頭瘡 | |
나리포창 | 羅里浦倉 | |
나창 | 癩瘡 | |
나창 | 蘿窓 | |
나창헌 | 羅昌憲 | |
난간궁창 | 欄干궁창 | |
난원창 | 卵圓窓 | |
난창 | 亂唱 | |
날창 | 날槍 | |
남도입창 | 南道立唱 | |
남도좌창 | 南道坐唱 | |
남도창 | 南道唱 | |
남성합창 | 男聲合唱 | |
남성합창단 | 男聲合唱團 | |
남창 | 南窓 | |
남창 | 男唱 | |
남창 | 南倉 | |
남창 | 男娼 | |
남창 | 南昌 | |
남창 | 南滄 | |
남창 | 南昌洞 | 지명 |
남창동 | 南倉洞 | 지명 |
남창여수 | 男唱女隨 | |
남창폭동 | 南昌暴動 | |
낭창 | 朗唱 | |
낭창 | 狼瘡 | |
낭창 | 朗暢 | |
낭창반 | 狼瘡斑 | |
낭창암 | 狼瘡癌 | |
내감창 | 內疳瘡 | |
냉감창 | 冷疳瘡 | |
냉장창고 | 냉장倉庫 | |
녀성중창 | 女聲重唱 | |
녀성합창 | 女聲合唱 | |
녀창 | 女唱 | |
노창 | 老蒼 | |
노창자 | 노창者 | |
녹창 | 綠窓 | |
녹창주호 | 綠窓朱戶 | |
농업창고 | 農業倉庫 | |
농창 | 膿瘡 | |
농포창 | 농포瘡 | |
농협창고 | 農協倉庫 | |
뇌창 | 腦瘡 | |
누정창 | 漏睛瘡 | |
누창 | 漏瘡 | |
능창대군 | 綾昌大君 | |
단구창 | 單鉤槍 | |
단복고창 | 單腹鼓脹 | |
단복창 | 單腹脹 | |
단성합창 | 單聲合唱 | |
단열팽창 | 斷熱膨脹 | |
단음창가 | 單音唱歌 | |
단창 | 短槍 | |
단창 | 單窓 | |
단창 | 丹槍 | |
달창 | 달窓 | |
담배제조창 | 담배製造廠 | |
담창 | 膽脹 | |
담창구 | 淡蒼球 | |
당창 | 唐瘡 | |
당창포 | 唐菖蒲 | |
대방창 | 大傍唱 | |
대징창 | 大懲創 | |
대창 | 大昌 | |
대창 | 對唱 | |
대창 | 大漲 | |
대창 | 대槍 | |
대창동 | 大昌洞 | 지명 |
대창면 | 大昌面 | 지명 |
대창서 | 大倉署 | |
대창옷 | 大창옷 | |
대팽창기 | 大膨脹期 | |
대풍창 | 大風瘡 | |
덕창 | 德昌 | |
덕창진 | 德昌鎭 | |
덕천창 | 德泉倉 | |
덧살창 | 덧살窓 | |
덧창 | 덧窓 | |
데창 | 데窓 | |
도시창고 | 都市倉庫 | |
도창 | 刀槍 | |
도창 | 刀創 | |
도창 | 棹唱 | |
도창 | 導唱 | |
도창 | 都倉 | |
도창동 | 道倉洞 | 지명 |
도창악사 | 導唱樂師 | |
도하창 | 도하艙 | |
독방창 | 獨傍唱 | |
독병창 | 獨竝唱 | |
독창 | 獨唱 | |
독창 | 獨創 | |
독창 | 毒瘡 | |
독창 | 禿瘡 | |
독창 | 獨窓 | |
독창곡 | 獨唱曲 | |
독창력 | 獨創力 | |
독창미 | 獨創美 | |
독창미 | 獨創味 | |
독창성 | 獨創性 | |
독창적 | 獨創的 | |
독창회 | 獨唱會 | |
돌기창 | 돌기窓 | |
돌창 | 突槍 | |
돌창 | 돌槍 | |
돌창포 | 돌菖蒲 | |
동기창 | 董其昌 | |
동란창 | 凍爛瘡 | |
동성합창 | 同聲合唱 | |
동창 | 同窓 | |
동창 | 東窓 | |
동창 | 凍瘡 | |
동창 | 童唱 | |
동창 | 東廠 | |
동창 | 東唱 | |
동창생 | 同窓生 | |
동창여각 | 東倉旅閣 | |
동창회 | 同窓會 | |
동창회장 | 同窓會長 | |
되창 | 되窓 | |
되창문 | 되窓門 | |
두겹창 | 두겹窓 | |
두껍창 | 두껍窓 | |
두면창 | 頭面瘡 | |
두창 | 頭瘡 | |
두창 | 痘瘡 | |
두창경험방 | 痘瘡經驗方 | |
두창바이러스 | 痘瘡바이러스 | |
두풍창 | 頭風瘡 | |
두풍창 | 痘風瘡 | |
뒤창 | 뒤窓 | |
들창 | 들窓 | |
들창눈이 | 들窓눈이 | |
들창문 | 들窓門 | |
들창코 | 들窓코 | |
등압팽창 | 等壓膨脹 | |
등온팽창 | 等溫膨脹 | |
등창 | 등瘡 | |
뙤창 | 뙤窓 | |
뙤창문 | 뙤窓門 | |
라두창 | 癩頭瘡 | |
란원창 | 卵圓窓 | |
란의창 | 爛依瘡 | |
란창 | 亂唱 | |
랭창 | 冷瘡 | |
량지창 | 兩枝槍 | |
려창일방 | 旅窓一方 | |
련주창 | 連珠瘡 | |
련창 | 連唱 | |
련창문 | 連窓門 | |
로버트쇼합창단 | 로버트쇼合唱團 | |
로저와그너합창단 | 로저와그너合唱團 | |
로창 | 老蒼 | |
록반창출환 | 綠礬蒼朮丸 | |
록창주호 | 綠窓朱戶 | |
루창 | 漏瘡 | |
류창 | 流暢 | |
륭창 | 隆昌 | |
리화창 | 梨花槍 | |
립창 | 立唱 | |
마상기창 | 마상旗槍 | |
막창자꼬리판 | 막창자꼬리瓣 | |
만경창파 | 萬頃蒼波 | |
만경창해 | 만경滄海 | |
만고절창 | 萬古絶唱 | |
만리창공 | 萬里蒼空 | |
만리창파 | 萬里滄波 | |
만신창 | 滿身瘡 | |
만신창이 | 滿身瘡痍 | |
만자창 | 卍字窓 | |
만전창살 | 卍田窓살 | |
만창 | 滿瘡 | |
만화방창 | 萬化方暢 | |
만화방창 | 萬花方暢 | |
망사창 | 網紗窓 | |
망창 | 茫蒼 | |
망창 | 望窓 | |
매표창구 | 賣票窓口 | |
맹관총창 | 盲管銃創 | |
머리창 | 머리窓 | |
면창 | 面瘡 | |
면화창 | 棉花瘡 | |
명창 | 名唱 | |
명창 | 明窓 | |
명창 | 明暢 | |
명창 | 名娼 | |
모색창연 | 暮色蒼然 | |
모창 | 模唱 | |
모창 | 毛瘡 | |
목창 | 木廠 | |
몸팽창 | 몸膨脹 | |
몸팽창계수 | 몸膨脹係數 | |
몽롱창망 | 朦朧蒼茫 | |
묘안창 | 猫眼瘡 | |
묘창해지일속 | 渺蒼海之一粟 | |
무인창고 | 無人倉庫 | |
무창 | 武昌 | |
무창식 | 無窓式 | |
묵색창윤 | 墨色蒼潤 | |
문창 | 門窓 | |
문창동 | 文昌洞 | 지명 |
문창성 | 文昌星 | |
문창우 | 門窓戶 | |
문창제군 | 文昌帝君 | |
문창지 | 門窓紙 | |
문창호 | 門窓戶 | |
문창호지 | 門窓戶紙 | |
미늘창 | 미늘槍 | |
미닫이창 | 미닫이窓 | |
밀봉창 | 밀봉窓 | |
밀창 | 밀窓 | |
밀창문 | 밀窓門 | |
바라지창 | 바라지窓 | |
반월창 | 半月窓 | |
반창 | 瘢瘡 | |
반창 | 半窓 | |
반창고 | 絆創膏 | |
반화창 | 反花瘡 | |
발라스트창 | 발라스트艙 | |
발유창 | 發乳瘡 | |
발창 | 發暢 | |
발창 | 발窓 | |
방수창 | 防水窓 | |
방창 | 方暢 | |
방창 | 傍唱 | |
방풍창 | 防風窓 | |
배창 | 背瘡 | |
배창 | 俳倡 | |
백공천창 | 百孔千瘡 | |
백독두창 | 白禿頭瘡 | |
백라창 | 白癩瘡 | |
백석창파 | 白石蒼波 | |
백세창 | 百世瘡 | |
백창 | 白菖 | |
백창포 | 白菖蒲 | |
백충창 | 白蟲倉 | |
번창 | 繁昌 | |
번창출마 | 飜槍出馬 | |
번화창 | 飜華瘡 | |
범창 | 凡娼 | |
범창 | 範唱 | |
범창고 | 帆倉庫 | |
법고창신 | 法古創新 | |
벽창 | 壁窓 | |
벽창우 | 碧昌牛 | |
병공창 | 兵工廠 | |
병기창 | 兵器廠 | |
병자호란창의록 | 丙子胡亂倡義錄 | |
병참기지창 | 병참기지廠 | |
병창 | 竝唱 | |
병창 | 病窓 | |
보관창고 | 保管倉庫 | |
보세창고 | 保稅倉庫 | |
보존창고 | 保存倉庫 | |
보통랑창 | 普通狼瘡 | |
보통모창 | 보통毛瘡 | |
복명복창 | 復命復唱 | |
복음합창 | 複音合唱 | |
복창 | 復唱 | |
복창 | 複窓 | |
복창 | 腹脹 | |
복창법 | 腹窓法 | |
복창증 | 腹脹症 | |
복합창 | 複合唱 | |
봉창 | 封窓 | |
봉창 | 蓬窓 | |
봉창 | 奉唱 | |
봉창 | 封倉 | |
봉창식 | 封倉式 | |
부창동 | 富倉洞 | 지명 |
부창방 | 浮창방 | |
부창부수 | 夫唱婦隨 | |
부창정 | 副倉正 | |
부창현 | 富昌峴 | |
부피팽창 | 부피膨脹 | |
부피팽창계수 | 부피膨脹係數 | |
북창 | 北窓 | |
북창동 | 北倉洞 | 지명 |
북창문 | 北窓門 | |
북창삼우 | 北窓三友 | |
분벽사창 | 粉壁紗窓 | |
분창 | 分廠 | |
분합장영창 | 分閤長映窓 | |
불이창자관 | 불이창자管 | |
불창 | 불窓 | |
붙박이창 | 붙박이窓 | |
비창 | 鼻瘡 | |
비창 | 悲愴 | |
비창교향곡 | 悲愴交響曲 | |
비창소나타 | 悲愴소나타 | |
비팽창주의 | 非膨脹主義 | |
빈소년합창단 | 빈少年合唱團 | |
빗살창 | 빗살窓 | |
뼈창 | 뼈槍 | |
사두창 | 蛇頭瘡 | |
사부합창 | 四部合唱 | |
사시창 | 沙匙槍 | |
사전창 | 蛇纏瘡 | |
사중창 | 四重唱 | |
사창 | 社倉 | |
사창 | 私娼 | |
사창 | 紗窓 | |
사창 | 射創 | |
사창 | 司倉 | |
사창 | 史倉 | |
사창가 | 私娼街 | |
사창굴 | 私娼窟 | |
사창동 | 司倉洞 | 지명 |
사창미 | 社倉米 | |
사창빗 | 社倉빗 | |
사창서 | 司倉署 | |
사창제 | 사창制 | |
산가야창 | 山歌野唱 | |
산창 | 山窓 | |
산창 | 酸愴 | |
산창령 | 山蒼嶺 | |
살미살창 | 살미살窓 | |
살없는창 | 살없는窓 | |
살창 | 살窓 | |
살창문 | 살窓門 | |
삼모창 | 三矛槍 | |
삼부합창 | 三部合唱 | |
삼산화창연 | 삼산화蒼鉛 | |
삼중창 | 三重唱 | |
삼지창 | 三枝槍 | |
삼창 | 三唱 | |
삼창 | 三昌 | |
삼창 | 三倉 | |
삼창 | 三蒼 | |
상사창동 | 上司倉洞 | 지명 |
상서창부 | 尙書倉部 | |
상수창 | 傷水瘡 | |
상적창 | 常積創 | |
상전창해 | 桑田滄海 | |
상창 | 上唱 | |
상창 | 傷創 | |
상창 | 傷愴 | |
상창지변 | 桑滄之變 | |
상평창 | 常平倉 | |
상품진열창 | 商品陳列窓 | |
새긴창 | 새긴窓 | |
색창 | 塞窓 | |
샘창자소식자법 | 샘창자消息子法 | |
샘창자염 | 샘창자炎 | |
생산창고 | 生産倉庫 | |
생어창 | 生魚倉 | |
서곤수창집 | 西崑酬唱集 | |
서도입창 | 書道立唱 | |
서도좌창 | 書道座唱 | |
서세창 | 徐世昌 | |
서창 | 西窓 | |
서창 | 書窓 | |
서창 | 西廠 | |
서창 | 敍唱 | |
서창 | 舒暢 | |
서창 | 西昌 | |
서창 | 西唱 | |
서창동 | 西倉洞 | 지명 |
서창동 | 西昌洞 | 지명 |
석창 | 石槍 | |
석창포 | 石菖蒲 | |
선도창 | 先導唱 | |
선수창 | 선수窓 | |
선수창 | 선수艙 | |
선수창구 | 선수窓口 | |
선이창 | 旋耳瘡 | |
선창 | 船艙 | |
선창 | 先唱 | |
선창 | 船窓 | |
선창 | 船廠 | |
선창 | 船倉 | |
선창 | 癬瘡 | |
선창 | 宣暢 | |
선창계약 | 船倉契約 | |
선창산 | 仙蒼山 | |
선창악사 | 先唱樂師 | |
선창악장 | 先唱樂章 | |
선창자 | 先唱者 | |
선팽창 | 線膨脹 | |
선팽창계수 | 線膨脹係數 | |
선팽창률 | 線膨脹率 | |
선후창 | 先後唱 | |
설상창 | 舌上瘡 | |
설창 | 雪窓 | |
설창 | 舌瘡 | |
성창 | 成瘡 | |
성창 | 盛昌 | |
세골창 | 細骨窓 | |
세모창 | 세모槍 | |
세발창 | 세발槍 | |
세창양행 | 世昌洋行 | |
소방창 | 小傍唱 | |
소영창 | 小詠唱 | |
소창 | 消暢 | |
소창 | 小瘡 | |
소창 | 小窓 | |
속창 | 俗唱 | |
손창방 | 손창房 | |
솔창 | 率倡 | |
송곳창 | 송곳槍 | |
송창 | 誦唱 | |
송창동 | 松昌洞 | 지명 |
쇄창 | 鎖窓 | |
쇠살창 | 쇠살窓 | |
쇠창살 | 쇠窓살 | |
수교훈장창의장 | 수교훈장彰義章 | |
수산화창연 | 水酸化倉鉛 | |
수선창 | 水仙菖 | |
수운창 | 水運倉 | |
수참창 | 水站倉 | |
수창 | 水倉 | |
수창 | 首唱 | |
수창 | 首創 | |
수창 | 酬唱 | |
수창 | 守倉 | |
수창 | 壽昌 | |
수창 | 水瘡 | |
수창 | 水脹 | |
수창동 | 壽昌洞 | 지명 |
수창자 | 首唱者 | |
수창포 | 水菖蒲 | |
수포창 | 水疱瘡 | |
숙창 | 肅唱 | |
순창 | 脣瘡 | |
순창 | 淳昌 | |
순창군 | 淳昌郡 | 지명 |
순창읍 | 淳昌邑 | 지명 |
쉬스창 | 徐世昌 | |
습창 | 濕瘡 | |
시덕자창 | 恃德者昌 | |
시창 | 始唱 | |
시창 | 視唱 | |
시창 | 視窓 | |
시창 | 始創 | |
시창 | 詩唱 | |
시창구 | 視窓口 | |
시창법 | 詩唱法 | |
식창 | 食脹 | |
신용창조 | 信用創造 | |
신창 | 伸暢 | |
신창 | 腎脹 | |
신창동 | 新倉洞 | 지명 |
신창동 | 新昌洞 | 지명 |
신창면 | 新昌面 | 지명 |
신탁창고 | 信託倉庫 | |
심창 | 深窓 | |
쌍창 | 雙窓 | |
쌍창 | 雙唱 | |
쌍창미닫이 | 雙窓미닫이 | |
아가사창 | 我歌査唱 | |
아감창 | 牙疳瘡 | |
아구창 | 牙口瘡 | |
아구창 | 鴉口瘡 | |
아산화창연 | 亞酸化蒼鉛 | |
아자교창 | 亞字交窓 | |
아자창 | 亞字窓 | |
아치창 | 아치窓 | |
아후창 | 鵝喉瘡 | |
악창 | 惡瘡 | |
안검창 | 眼瞼瘡 | |
안민창 | 安民倉 | |
안전창고 | 安全倉庫 | |
안창 | 雁瘡 | |
안창 | 안窓 | |
안창남 | 安昌男 | |
안창도 | 安昌島 | |
안창동 | 安倉洞 | 지명 |
안창호 | 安昌浩 | |
암창 | 暗唱 | |
암창 | 癌瘡 | |
앗자교창 | 亞字交窓 | |
앗자창 | 亞字窓 | |
앞창 | 앞窓 | |
애창 | 愛唱 | |
애창가 | 愛唱歌 | |
애창가요 | 愛唱歌謠 | |
애창곡 | 愛唱曲 | |
애창되다 | 愛唱되다 | |
앵도창 | 櫻桃瘡 | |
야전병기창 | 野戰兵器廠 | |
양매창 | 楊梅瘡 | |
양지창 | 兩枝槍 | |
양창 | 亮窓 | |
어구창 | 魚口瘡 | |
어구창 | 漁具艙 | |
어목창 | 魚目瘡 | |
어창 | 魚艙 | |
어창 | 魚窓 | |
억만창상 | 억만滄桑 | |
억만창생 | 億萬蒼生 | |
억조창생 | 億兆蒼生 | |
언해두창집요 | 諺解痘瘡集要 | |
엄광창 | 掩壙窓 | |
엇살창 | 엇살窓 | |
여닫이창 | 여닫이窓 | |
여로창생 | 如露蒼生 | |
여성중창 | 女性重唱 | |
여성합창 | 女聲合唱 | |
여창 | 女唱 | |
여창 | 旅窓 | |
여창가요록 | 女唱歌謠錄 | |
여창유취 | 女唱類聚 | |
역창 | 易倡 | |
연구창 | 燕口瘡 | |
연속창조설 | 連續創造說 | |
연유창 | 燃油倉 | |
연주창 | 連珠瘡 | |
연창 | 煙槍 | |
연창 | 連唱 | |
연창 | 연窓 | |
연창 | 聯唱 | |
연창문 | 連窓門 | |
연초제조창 | 煙草製造廠 | |
열독창 | 熱毒瘡 | |
열창 | 裂創 | |
열창 | 熱瘡 | |
열창 | 熱唱 | |
열창 | 열窓 | |
열팽창 | 熱膨脹 | |
열팽창계수 | 熱膨脹係數 | |
열팽창률 | 熱膨脹率 | |
염창 | 鹽倉 | |
염창 | 簾窓 | |
염창동 | 鹽倉洞 | 지명 |
영림창 | 營林廠 | |
영사시창 | 映寫視窓 | |
영서창 | 詠敍唱 | |
영업창구 | 營業窓口 | |
영창 | 營倉 | |
영창 | 映窓 | |
영창 | 影窓 | |
영창 | 永昌 | |
영창궁성전 | 永昌宮成典 | |
영창금고 | 영창禁錮 | |
영창대 | 映窓대 | |
영창대군 | 永昌大君 | |
영창문 | 映窓門 | |
예창기 | 藝娼妓 | |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 | 五臺山上院寺重創勸善文 | |
오르내리창 | 오르내리窓 | |
오세창 | 吳世昌 | |
오중창 | 五重唱 | |
오창 | 五倉 | |
오창면 | 梧倉面 | 지명 |
오창석 | 吳昌碩 | |
옥창 | 獄窓 | |
와우각창 | 와우각窓 | |
와우창 | 蝸牛窓 | |
와창 | 臥瘡 | |
와창 | 蛙瘡 | |
완두창 | 豌豆瘡 | |
완자교창 | 卍字交窓 | |
완자창 | 卍字窓 | |
완창 | 頑瘡 | |
왕란창 | 王爛滄 | |
왕창령 | 王昌齡 | |
왜창수 | 倭槍手 | |
외견팽창 | 外見膨脹 | |
욕창 | 褥瘡 | |
용자창 | 用字窓 | |
우주팽창설 | 宇宙膨脹說 | |
우창 | 右倉 | |
운창 | 芸窓 | |
울울창창 | 鬱鬱蒼蒼 | |
울창 | 鬱蒼 | |
웅창자화 | 雄唱雌和 | |
원창 | 圓窓 | |
원창동 | 元倉洞 | 지명 |
원화창 | 圓華窓 | |
월식창 | 月蝕瘡 | |
월창 | 月窓 | |
위창 | 葦滄 | |
위창 | 胃脹 | |
유경창 | 柳慶昌 | |
유낭창 | 類狼瘡 | |
유리창 | 琉璃窓 | |
유리창나비 | 琉璃窓나비 | |
유리창살 | 琉璃窓살 | |
유리창어리박각시 | 琉璃窓어리박각시 | |
유비창 | 有備倉 | |
유유창천 | 悠悠蒼天 | |
유지창 | 油紙窓 | |
유창 | 油艙 | |
유창 | 流暢 | |
유창 | 劉敞 | |
유창돈 | 劉昌惇 | |
유창목 | 癒瘡木 | |
유창환 | 兪昌煥 | |
유통창고 | 流通倉庫 | |
유피창천 | 悠彼蒼天 | |
육군병참기지창 | 陸軍兵站基地廠 | |
육군식료창 | 陸軍食料廠 | |
육군의무기지창 | 陸軍醫務基地廠 | |
육군인쇄창 | 陸軍印刷廠 | |
육군조병창 | 陸軍造兵廠 | |
육군피복창 | 陸軍被服廠 | |
육군항공창 | 陸軍航空廠 | |
육중창 | 六重唱 | |
육창 | 六窓 | |
윤창 | 輪唱 | |
융창 | 隆昌 | |
은창 | 殷昌 | |
은하계창문 | 銀河系窓門 | |
음명창법 | 음명唱法 | |
음식창 | 陰蝕瘡 | |
음창 | 陰瘡 | |
음창 | 吟唱 | |
응창 | 應唱 | |
의무기지창 | 醫務基地廠 | |
의염창 | 義鹽倉 | |
의창 | 義倉 | |
의창 | 宜昌 | |
의창 | 義昌 | |
의창군 | 義昌郡 | |
이건창 | 李建昌 | |
이단팽창기관 | 二段膨脹機關 | |
이동도창법 | 移動도창법 | |
이동성막창자 | 移動性막창자 | |
이련창 | 二連窓 | |
이물창 | 이물倉 | |
이물창 | 이물窓 | |
이봉창 | 李奉昌 | |
이부합창 | 二部合唱 | |
이연창 | 二連窓 | |
이중창 | 二重唱 | |
이중창 | 二重窓 | |
이창 | 宜昌 | |
이창 | 耳瘡 | |
이창동 | 二倉洞 | 지명 |
이창포 | 泥菖蒲 | |
인면창 | 人面瘡 | |
인민창작 | 人民創作 | |
인창 | 刃創 | |
인창동 | 仁昌洞 | 지명 |
인후창 | 咽喉瘡 | |
일고수이명창 | 一鼓手二名唱 | |
일념창명 | 一念唱名 | |
일산화창연 | 一酸化蒼鉛 | |
일창삼탄 | 一倡三歎 | |
일창삼탄 | 一唱三嘆 | |
일회용반창고 | 一回用絆瘡膏 | |
입창 | 入倉 | |
입창 | 立唱 | |
자궁고창증 | 自宮鼓脹症 | |
자동창고 | 自動倉庫 | |
자설창 | 紫舌瘡 | |
자유팽창 | 自由膨脹 | |
자창 | 刺創 | |
자창 | 疵瘡 | |
자창자화 | 自唱自和 | |
잔존선팽창 | 殘存線膨脹 | |
장광창 | 長廣窓 | |
장미창 | 장미窓 | |
장영창 | 長映窓 | |
장창 | 長窓 | |
장창 | 長槍 | |
장창 | 杖瘡 | |
장창 | 長창 | |
장창당 | 長槍幢 | |
재생창 | 再生廠 | |
재창 | 再唱 | |
재창작 | 再創作 | |
재창조 | 再創造 | |
저적창 | 儲積倉 | |
저창 | 低唱 | |
저창 | 疽瘡 | |
저창천작 | 低唱淺酌 | |
저팽창합금 | 低膨脹合金 | |
적창 | 積倉 | |
적창 | 赤瘡 | |
전시창 | 展示窓 | |
전염성천포창 | 傳染性天疱瘡 | |
전자창 | 田字窓 | |
전장창 | 纏腸瘡 | |
전정창 | 前庭窓 | |
전창 | 箭窓 | |
전창 | 傳唱 | |
전창 | 箭瘡 | |
전창근 | 全昌根 | |
절창 | 絶唱 | |
절창 | 切創 | |
접수창 | 접수窓 | |
접수창구 | 接受窓口 | |
정대창 | 程大昌 | |
정로창 | 征虜瘡 | |
정비창 | 整備廠 | |
정비창장 | 整備倉長 | |
정여창 | 丁汝昌 | |
정여창 | 鄭汝昌 | |
정원창 | 正圓窓 | |
정창 | 挺槍 | |
정창 | 睛脹 | |
정창손 | 鄭昌孫 | |
정창연 | 鄭昌衍 | |
정창출마 | 挺槍出馬 | |
제독동창 | 提督東廠 | |
제민창 | 濟民倉 | |
제수창 | 帝壽昌 | |
제조창 | 製造倉 | |
제조창화 | 製造倉化 | |
제창 | 提唱 | |
제창 | 齊唱 | |
제창수 | 齊唱手 | |
제창자 | 提唱者 | |
조갑창 | 爪甲瘡 | |
조병창 | 造兵廠 | |
조병창 | 趙秉昌 | |
조세창 | 漕稅倉 | |
조운창 | 漕運倉 | |
조창 | 漕倉 | |
조창 | 趙昌 | |
조천고창 | 朝天高昌 | |
졸창간 | 卒倉間 | |
종이창 | 종이窓 | |
종창 | 腫脹 | |
종창감 | 腫脹疳 | |
좌창 | 坐唱 | |
좌창 | 挫創 | |
좌창 | 左倉 | |
주공창 | 朱孔彰 | |
주마창 | 走馬瘡 | |
주마창 | 走馬窓 | |
주창 | 主唱 | |
주창자 | 主唱者 | |
주피추창 | 走皮趨瘡 | |
죽장창 | 竹長槍 | |
죽창 | 竹槍 | |
죽창 | 竹窓 | |
중련창 | 中連窓 | |
중앙보급창 | 中央補給廠 | |
중창 | 重創 | |
중창 | 中窓 | |
중창 | 中창 | |
중창곡 | 重唱曲 | |
중창반 | 重唱班 | |
즉일창방 | 卽日唱榜 | |
지관창전 | 止觀窓前 | |
지로창구 | 지로窓口 | |
지붕창 | 지붕窓 | |
지창 | 紙窓 | |
지창 | 地倉 | |
지창 | 支廠 | |
지창한 | 池昌翰 | |
직접팽창코일 | 直接膨脹코일 | |
진복창 | 陳復昌 | |
진열창 | 陳列窓 | |
진창미 | 陳倉米 | |
집체창작 | 集體創作 | |
쪽창 | 쪽窓 | |
차몰식자산창연 | 次沒食子酸蒼鉛 | |
차전창 | 次箭槍 | |
차질산창연 | 次窒酸蒼鉛 | |
차창 | 車窓 | |
차초산창연 | 次醋酸蒼鉛 | |
차탄산창연 | 次炭酸蒼鉛 | |
창 | 唱 | 노래 창, 노래부를 창 |
창 | 窓 | 창 창 |
창 | 昌 | 창성할 창 |
창 | 倉 | 곳집 창 |
창 | 創 | 비롯할 창, 비로소 창 |
창 | 蒼 | 푸를 창 |
창 | 暢 | 펼 창, 화창할 창 |
창 | 彰 | 밝을 창 |
창 | 滄 | 찰 창, 서늘할 창 |
창 | 敞 | 높을 창, 열 창 |
창 | 昶 | 밝을 창 |
창 | 倡 | 여광대 창, 계집광대 창 |
창 | 漲 | 불을 창, 넘칠 창 |
창 | 槍 | 창 창, 나무창 창 |
창 | 瘡 | 부스럼 창 |
창 | 愴 | 슬퍼할 창 |
창 | 脹 | 배부를 창, 배불룩할 창 |
창 | 娼 | 몸 파는 여자 창, 창녀 창 |
창 | 猖 | 미쳐 날뛸 창, 놀랄 창 |
창 | 菖 | 창포 창 |
창 | 廠 | 헛간 창 |
창 | 艙 | 선창 창 |
창 | 悵 | 슬퍼할 창 |
창 | 搶 | 닿을 창 |
창 | 鬯 | 술 |
창 | 刱 | 비롯할 창 |
창 | 倀 | 미칠 창 |
창 | 蹌 | 추창할 창 |
창 | 鎗 | |
창 | 閶 | |
창 | 氅 | 새털 창 |
창 | 惝 | 멍할 창 |
창 | 窻 | 창 창 |
창 | 憃 | |
창 | 傖 | 천할 창 |
창 | 鏦 | |
창 | 窗 | 창 창 |
창 | 瑲 | 옥 소리 창 |
창 | 鋹 | |
창 | 鶬 | |
창 | 凔 | 찰 창 |
창 | 戧 | 다칠 창 |
창 | 錆 | |
창 | 椙 | |
창 | 囱 | |
창 | 牕 | |
창 | 淐 | |
창 | 摐 | |
창 | 剏 | |
창 | 剙 | |
창 | 牎 | |
창 | 畼 | |
창 | 瑒 | |
창 | 篬 | |
창 | 厰 | |
창 | 磢 | |
창 | 謒 | |
창 | 錩 | |
창 | 枪 | |
창 | 仓 | |
창 | 伥 | |
창 | 伧 | |
창 | 创 | |
창 | 呛 | |
창 | 怅 | |
창 | 怆 | |
창 | 戗 | |
창 | 抢 | |
창 | 沧 | |
창 | 涨 | |
창 | 炝 | |
창 | 玚 | |
창 | 玱 | |
창 | 畅 | |
창 | 疮 | |
창 | 胀 | |
창 | 舱 | |
창 | 苍 | |
창 | 跄 | |
창 | 锖 | |
창 | 锠 | |
창 | 阊 | |
창 | 鲳 | |
창 | 鸧 | |
창 | 仺 | |
창 | 僘 | |
창 | 刅 | |
창 | 嗆 | |
창 | 囪 | |
창 | 嵢 | |
창 | 惐 | |
창 | 摤 | |
창 | 晿 | |
창 | 淌 | |
창 | 濸 | |
창 | 焻 | |
창 | 熗 | |
창 | 獊 | |
창 | 琩 | |
창 | 螥 | |
창 | 裮 | |
창 | 誯 | |
창 | 賶 | |
창 | 鯧 | |
창 | 鼚 | |
창 | 㒉 | |
창 | 㘟 | |
창 | 㧿 | |
창 | 㫤 | |
창 | 㼽 | |
창 | 䄝 | |
창 | 䅛 | |
창 | 䅮 | |
창 | 䆫 | |
창 | 䎫 | |
창 | 䗉 | |
창 | 䚎 | |
창 | 䞎 | |
창 | 䠀 | |
창 | 䢢 | |
창 | 䤌 | |
창 | 䥊 | |
창 | 䩨 | |
창 | 䮖 | |
창 | 䱽 | |
창 | 䲝 | |
창가 | 唱歌 | |
창가 | 娼家 | |
창가 | 窓가 | |
창가극 | 唱歌劇 | |
창가대 | 唱歌隊 | |
창가림 | 窓가림 | |
창가병 | 瘡痂病 | |
창가비 | 唱歌婢 | |
창가소부 | 唱家笑婦 | |
창가업 | 娼家業 | |
창가책례 | 娼家責禮 | |
창가학회 | 創價學會 | |
창간 | 創刊 | |
창간 | 槍杆 | |
창간사 | 創刊辭 | |
창간호 | 創刊號 | |
창감 | 倉監 | |
창갑 | 槍甲 | |
창강 | 滄江 | |
창건 | 蒼健 | |
창건 | 創建 | |
창건일 | 創建日 | |
창건자 | 創建者 | |
창건주 | 創建主 | |
창검 | 槍劍 | |
창검군 | 槍劍軍 | |
창검무 | 槍劍舞 | |
창검수 | 槍劒手 | |
창검초관 | 槍劍哨官 | |
창검파총 | 槍劍把摠 | |
창격 | 槍擊 | |
창격 | 窓格 | |
창견 | 創見 | |
창경 | 窓鏡 | |
창경궁 | 昌慶宮 | |
창경원 | 昌慶苑 | |
창고 | 倉庫 | |
창고 | 蒼古 | |
창고 | 蒼枯 | |
창고기 | 槍고기 | |
창고기탁 | 倉庫寄託 | |
창고기탁계약 | 倉庫寄託契約 | |
창고달 | 槍고달 | |
창고료 | 倉庫料 | |
창고미 | 倉庫米 | |
창고신용 | 倉庫信用 | |
창고약관 | 倉庫約款 | |
창고업 | 倉庫業 | |
창고업자 | 倉庫業者 | |
창고영업 | 倉庫營業 | |
창고영업자 | 倉庫營業者 | |
창고원 | 倉庫員 | |
창고인도 | 倉庫引渡 | |
창고임치 | 倉庫任置 | |
창고임치계약 | 倉庫任置契約 | |
창고장 | 倉庫長 | |
창고전 | 倉庫田 | |
창고증권 | 倉庫證券 | |
창고하역 | 倉庫荷役 | |
창고회사 | 倉庫會社 | |
창곡 | 倉穀 | |
창곡 | 唱曲 | |
창곡 | 倉谷 | 지명 |
창곡동 | 昌谷洞 | 지명 |
창공 | 蒼空 | |
창공 | 彰功 | |
창과변 | 槍戈邊 | |
창관 | 倉官 | |
창관 | 娼館 | |
창광 | 猖狂 | |
창구 | 窓口 | |
창구 | 創口 | |
창구 | 瘡口 | |
창구 | 艙口 | |
창구동 | 倉邱洞 | 지명 |
창구멍 | 窓구멍 | |
창구봉인 | 艙口封印 | |
창구원 | 窓口員 | |
창구장치 | 窓口裝置 | |
창군 | 創軍 | |
창군 | 槍軍 | |
창궁 | 蒼穹 | |
창궐 | 猖獗 | |
창균 | 倉菌 | |
창극 | 唱劇 | |
창극 | 蒼極 | |
창극조 | 唱劇調 | |
창기 | 脹氣 | |
창기 | 槍旗 | |
창기 | 瘡氣 | |
창기 | 娼妓 | |
창기병 | 槍騎兵 | |
창기악 | 彰其惡 | |
창꾼 | 槍꾼 | |
창끝 | 槍끝 | |
창나방 | 窓나방 | |
창날 | 槍날 | |
창녀 | 娼女 | |
창녕 | 昌寧 | |
창녕군 | 昌寧郡 | 지명 |
창녕석빙고 | 昌寧石氷庫 | |
창녕순수비 | 昌寧巡狩碑 | |
창녕술정리동삼층석탑 | 昌寧述亭里東三層石塔 | |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 |
창녕읍 | 昌寧邑 | 지명 |
창녕절 | 昌寧節 | |
창노 | 倉奴 | |
창단 | 創團 | |
창달 | 暢達 | |
창당 | 創黨 | |
창대 | 昌大 | |
창대 | 槍대 | |
창덕 | 彰德 | |
창덕궁 | 昌德宮 | |
창던지기 | 槍던지기 | |
창도 | 唱導 | |
창도 | 漲濤 | |
창도 | 昌道 | |
창도 | 倡道 | |
창도 | 唱道 | |
창도자 | 창도者 | |
창독 | 瘡毒 | |
창동 | 倉洞 | 지명 |
창두 | 蒼頭 | |
창락 | 暢樂 | |
창랑 | 滄浪 | |
창랑가 | 滄浪歌 | |
창랑곡 | 滄浪曲 | |
창랑시화 | 滄浪詩話 | |
창랑자취 | 滄浪自取 | |
창랑정 | 滄浪亭 | |
창량 | 艙量 | |
창례 | 唱禮 | |
창로 | 蒼老 | |
창룡 | 蒼龍 | |
창룡분해세 | 蒼龍奮海勢 | |
창루 | 娼樓 | |
창류 | 娼流 | |
창류 | 漲流 | |
창릉 | 昌陵 | |
창린도 | 昌麟島 | |
창림탄우 | 槍林彈雨 | |
창립 | 創立 | |
창립위원 | 創立委員 | |
창립자 | 創立者 | |
창립주의 | 創立主義 | |
창립총회 | 創立總會 | |
창막이 | 艙막이 | |
창만 | 脹滿 | |
창만 | 漲滿 | |
창만되다 | 漲滿되다 | |
창망 | 滄茫 | |
창망 | 蒼茫 | |
창맨드라미 | 槍맨드라미 | |
창맹 | 蒼氓 | |
창머리 | 窓머리 | |
창면 | 창麵 | |
창명 | 唱名 | |
창명 | 彰明 | |
창명 | 滄溟 | |
창명 | 愴冥 | |
창명 | 創明 | |
창명히 | 彰明히 | |
창모 | 창矛 | |
창모변 | 槍矛邊 | |
창무 | 暢茂 | |
창무극 | 唱舞劇 | |
창문 | 窓門 | |
창문지 | 窓門紙 | |
창문짝 | 窓門짝 | |
창문턱 | 窓門턱 | |
창문틀 | 窓門틀 | |
창문홈 | 窓門홈 | |
창미 | 倉米 | |
창미 | 窓眉 | |
창미닫이 | 窓미닫이 | |
창민 | 蒼民 | |
창민 | 蒼旻 | |
창민요 | 唱民謠 | |
창밖 | 窓밖 | |
창반 | 瘡瘢 | |
창발 | 創發 | |
창발력 | 創發力 | |
창발성 | 創發性 | |
창발자 | 創發者 | |
창발적 | 創發的 | |
창발적진화 | 創發的進化 | |
창밤나방 | 窓밤나방 | |
창밤나빗과 | 창밤나빗科 | |
창방 | 唱榜 | |
창방조생 | 倉方早生 | |
창배 | 槍배 | |
창백 | 蒼白 | |
창백출 | 蒼白朮 | |
창백히 | 蒼白히 | |
창벌 | 槍벌 | |
창법 | 唱法 | |
창법 | 槍法 | |
창변 | 窓邊 | |
창병 | 槍兵 | |
창병 | 瘡病 | |
창봉 | 槍棒 | |
창부 | 倡夫 | |
창부 | 娼婦 | |
창부 | 倉部 | |
창부 | 倉府 | |
창부 | 昌符 | |
창부거리 | 倡夫거리 | |
창부경 | 倉部卿 | |
창부굿 | 倡夫굿 | |
창부놀이 | 倡夫놀이 | |
창부료 | 倉敷料 | |
창부리 | 槍부리 | |
창부무당 | 倡夫무당 | |
창부청 | 倡夫廳 | |
창부타령 | 倡夫打令 | |
창부형 | 娼婦型 | |
창불 | 窓불 | |
창빗 | 倉빗 | |
창사 | 唱詞 | |
창사 | 倡師 | |
창사 | 倉史 | |
창사 | 創寺 | |
창사 | 窓紗 | |
창사 | 創社 | |
창사냥 | 槍사냥 | |
창산 | 蒼山 | |
창살 | 窓살 | |
창살뜨기 | 窓살뜨기 | |
창살어리박각시 | 窓살어리박각시 | |
창상 | 創傷 | |
창상 | 滄桑 | |
창상 | 창床 | |
창상감염 | 創傷感染 | |
창상도 | 槍狀刀 | |
창상성심낭염 | 創傷性心囊炎 | |
창상성위염 | 創傷性胃炎 | |
창상세계 | 滄桑世界 | |
창상열 | 創傷烈 | |
창상전염병 | 創傷傳染病 | |
창상지변 | 滄桑之變 | |
창색 | 蒼色 | |
창생 | 蒼生 | |
창생 | 創生 | |
창서 | 暢敍 | |
창서 | 倉鼠 | |
창서슬 | 槍서슬 | |
창석 | 愴惜 | |
창선 | 彰善 | |
창선 | 槍船 | |
창선감의록 | 彰善感義錄 | |
창선대부 | 彰善大夫 | |
창선도 | 昌善島 | |
창선동 | 昌善洞 | 지명 |
창선면 | 昌善面 | 지명 |
창선반 | 窓선반 | |
창선징악 | 彰善懲惡 | |
창설 | 創設 | |
창설력 | 創設力 | |
창설자 | 創設者 | |
창설판결 | 創設判決 | |
창성 | 創成 | |
창성 | 昌盛 | |
창성 | 昌城 | |
창성가공 | 創成加工 | |
창성군 | 昌城郡 | |
창성동 | 昌城洞 | 지명 |
창성동 | 昌成洞 | 지명 |
창성되다 | 創成되다 | |
창성법 | 創成法 | |
창세 | 昌世 | |
창세 | 創世 | |
창세기 | 創世記 | |
창세기원 | 創世紀元 | |
창세기적 | 創世記的 | |
창세신화 | 創世神話 | |
창세전 | 創世前 | |
창세후 | 創世後 | |
창속 | 倉屬 | |
창속 | 倉粟 | |
창솔 | 倡率 | |
창송 | 蒼松 | |
창송녹죽 | 蒼松綠竹 | |
창송수고 | 蒼松壽古 | |
창송취백 | 蒼松翠柏 | |
창송취죽 | 蒼松翠竹 | |
창수 | 漲水 | |
창수 | 槍手 | |
창수 | 唱酬 | |
창수 | 倡率 | |
창수 | 蒼樹 | |
창수 | 倡隨 | |
창수 | 唱隨 | |
창수면 | 蒼水面 | 지명 |
창술 | 槍術 | |
창술가 | 槍術家 | |
창승 | 蒼蠅 | |
창시 | 彰示 | |
창시 | 創始 | |
창시자 | 創始者 | |
창식 | 唱食 | |
창신교위 | 彰信校尉 | |
창신동 | 昌信洞 | 지명 |
창신병 | 蒼身病 | |
창씨 | 創氏 | |
창씨개명 | 創氏改名 | |
창씨고씨 | 倉氏庫氏 | |
창아과 | 窓蛾科 | |
창악 | 彰惡 | |
창악 | 唱樂 | |
창악 | 倡樂 | |
창안 | 創案 | |
창안 | 蒼顔 | |
창안권 | 創案權 | |
창안백발 | 蒼顔白髮 | |
창안자 | 創案者 | |
창안품 | 創案品 | |
창안화발 | 蒼顔華髮 | |
창암 | 蒼暗 | |
창앗과 | 窓蛾科 | |
창애 | 蒼靄 | |
창애 | 蒼崖 | |
창약 | 瘡藥 | |
창양 | 瘡瘍 | |
창양 | 彰揚 | |
창언 | 唱言 | |
창언 | 昌言 | |
창언정론 | 昌言正論 | |
창업 | 創業 | |
창업비 | 創業費 | |
창업이득 | 創業利得 | |
창업자 | 創業者 | |
창업자리윤 | 創業者利潤 | |
창업자이득 | 創業者利得 | |
창업주 | 創業主 | |
창업주적 | 創業主的 | |
창업지주 | 創業之主 | |
창역 | 倉役 | |
창역가 | 倉役價 | |
창연 | 蒼鉛 | |
창연 | 蒼然 | |
창연 | 敞然 | |
창연 | 愴然 | |
창연 | 蒼煙 | |
창연요법 | 蒼鉛療法 | |
창연제 | 蒼鉛劑 | |
창염 | 蒼髥 | |
창영동 | 昌榮洞 | 지명 |
창오 | 蒼梧 | |
창오 | 倉敖 | |
창오지망 | 蒼梧之望 | |
창왕 | 昌王 | |
창왕찰래 | 彰往察來 | |
창외 | 窓外 | |
창우 | 倡優 | |
창우동 | 倉隅洞 | 지명 |
창우희 | 唱優戱 | |
창운 | 昌運 | |
창울 | 蒼鬱 | |
창원 | 蒼遠 | |
창원 | 昌原 | |
창원군 | 昌原郡 | |
창원시 | 昌原市 | 지명 |
창월 | 暢月 | |
창유 | 創有 | |
창유 | 倉庾 | |
창유기서 | 創有奇書 | |
창유리 | 窓琉璃 | |
창윤 | 蒼潤 | |
창응 | 蒼鷹 | |
창의 | 創意 | |
창의 | 倡義 | |
창의 | 唱衣 | |
창의 | 唱義 | |
창의고안 | 創意考案 | |
창의궁 | 彰義宮 | |
창의대 | 倡義隊 | |
창의대부 | 彰義大夫 | |
창의력 | 創意力 | |
창의록 | 倡義錄 | |
창의문 | 倡義文 | |
창의문 | 彰義門 | |
창의물 | 創意物 | |
창의사 | 倡義使 | |
창의성 | 創意性 | |
창의소 | 倡義所 | |
창의적 | 創意的 | |
창의창발성 | 創意創發性 | |
창의회 | 倡義會 | |
창이 | 蒼耳 | |
창이병 | 蒼耳餠 | |
창이자 | 蒼耳子 | |
창이자유 | 蒼耳子油 | |
창이채 | 蒼耳菜 | |
창이충 | 蒼耳蟲 | |
창인 | 槍刃 | |
창인동 | 昌仁洞 | 지명 |
창일 | 漲溢 | |
창입 | 唱入 | |
창자루 | 槍자루 | |
창자벽 | 창자壁 | |
창자액 | 창자液 | |
창작 | 創作 | |
창작가 | 創作家 | |
창작권 | 創作權 | |
창작극 | 創作劇 | |
창작단 | 創作檀 | |
창작되다 | 創作되다 | |
창작력 | 創作力 | |
창작무용 | 創作舞踊 | |
창작물 | 創作物 | |
창작성 | 創作性 | |
창작실 | 創作室 | |
창작열 | 創作熱 | |
창작욕 | 創作慾 | |
창작자 | 創作者 | |
창작적 | 創作的 | |
창작지 | 創作紙 | |
창작집 | 創作集 | |
창작품 | 創作品 | |
창잡이 | 槍잡이 | |
창장 | 窓帳 | |
창장 | 倉長 | |
창저 | 彰著 | |
창저되다 | 彰著되다 | |
창적 | 暢適 | |
창전 | 昌廛 | |
창전 | 窓前 | |
창전동 | 倉前洞 | 지명 |
창전동 | 創前洞 | 지명 |
창정 | 創定 | |
창정 | 倉正 | |
창정되다 | 創定되다 | |
창제 | 唱題 | |
창제 | 創制 | |
창제 | 創製 | |
창제과정 | 創制過程 | |
창제자 | 創製者 | |
창조 | 創造 | |
창조 | 倉曹 | |
창조 | 漲潮 | |
창조 | 創祖 | |
창조가극 | 唱調歌劇 | |
창조교육 | 創造敎育 | |
창조되다 | 創造되다 | |
창조력 | 創造力 | |
창조론 | 創造論 | |
창조류 | 漲潮流 | |
창조리 | 倉助利 | |
창조물 | 創造物 | |
창조사 | 創造社 | |
창조성 | 創造性 | |
창조성원리 | 創造性原理 | |
창조신 | 創造神 | |
창조자 | 創造者 | |
창조적 | 創造的 | |
창조적사고 | 創造的思考 | |
창조적진화 | 創造的進化 | |
창조주 | 創造主 | |
창조품 | 創造品 | |
창졸 | 倉卒 | |
창졸 | 唱卒 | |
창졸간 | 倉卒間 | |
창졸에 | 倉卒에 | |
창졸히 | 倉卒히 | |
창종 | 瘡腫 | |
창주 | 創主 | |
창주 | 倉主 | |
창주 | 滄州 | |
창죽동 | 蒼竹洞 | 지명 |
창준 | 唱準 | |
창증 | 脹症 | |
창지 | 窓紙 | |
창진동 | 昌津洞 | 지명 |
창질 | 瘡疾 | |
창질 | 槍질 | |
창집 | 倉집 | |
창짝 | 窓짝 | |
창창 | 蒼蒼 | |
창창 | 滄滄 | |
창창 | 倡倡 | |
창창 | 愴愴 | |
창창대해 | 蒼蒼大海 | |
창창소년 | 蒼蒼少年 | |
창창울울 | 蒼蒼鬱鬱 | |
창창히 | 蒼蒼히 | |
창척 | 窓隻 | |
창천 | 蒼天 | |
창천 | 蒼川 | |
창천 | 漲天 | |
창천동 | 滄川洞 | 지명 |
창천백일 | 蒼天白日 | |
창초 | 創初 | |
창초 | 創草 | |
창출 | 創出 | |
창출 | 蒼朮 | |
창출 | 唱出 | |
창출고 | 蒼朮膏 | |
창출되다 | 創出되다 | |
창출채 | 蒼朮菜 | |
창취 | 蒼翠 | |
창치 | 槍치 | |
창칼 | 槍칼 | |
창쾌 | 暢快 | |
창탁 | 窓卓 | |
창탄 | 唱彈 | |
창탕 | 倉帑 | |
창태 | 蒼苔 | |
창턱 | 窓턱 | |
창틀 | 窓틀 | |
창파 | 滄波 | |
창파 | 蒼波 | |
창파만경 | 蒼波萬頃 | |
창평 | 昌平 | |
창평동 | 倉平洞 | 지명 |
창평동 | 昌平洞 | 지명 |
창평면 | 昌平面 | 지명 |
창포 | 菖蒲 | |
창포강 | 창포江 | |
창포근 | 菖蒲根 | |
창포동 | 昌浦洞 | 지명 |
창포말 | 蒼浦末 | |
창포물 | 菖蒲물 | |
창포병 | 菖蒲餠 | |
창포비녀 | 菖蒲비녀 | |
창포수 | 菖浦水 | |
창포잠 | 菖蒲簪 | |
창포주 | 菖蒲酒 | |
창포탕 | 菖蒲湯 | |
창풍 | 瘡風 | |
창피 | 猖披 | |
창피 | 倡被 | |
창피스럽다 | 猖披스럽다 | |
창하 | 倉荷 | |
창하증권 | 倉荷證券 | |
창해 | 滄海 | |
창해 | 蒼海 | |
창해군 | 滄海郡 | |
창해상전 | 滄海桑田 | |
창해유주 | 滄海遺珠 | |
창해일속 | 滄海一粟 | |
창현 | 彰顯 | |
창형흡충병 | 槍型吸蟲病 | |
창호 | 窓戶 | |
창호 | 蒼昊 | |
창호가게 | 窓戶가게 | |
창호공사 | 窓戶工事 | |
창호응답 | 唱呼鷹答 | |
창호재 | 窓戶材 | |
창호재료 | 창호材料 | |
창호지 | 窓戶紙 | |
창호철물 | 窓戶鐵物 | |
창혼 | 唱魂 | |
창화 | 唱和 | |
창화 | 倉貨 | |
창화 | 彰化 | |
창화시조 | 唱和時調 | |
창황 | 蒼惶 | |
창황 | 蒼皇 | |
창황 | 蒼黃 | |
창황망조 | 蒼黃罔措 | |
창황분주 | 蒼黃奔走 | |
창회 | 暢懷 | |
창휘 | 昌徽 | |
창흑 | 蒼黑 | |
창흑빛 | 蒼黑빛 | |
창흔 | 瘡痕 | |
창희 | 唱戱 | |
채광창 | 採光窓 | |
채창 | 蔡暢 | |
처창 | 悽愴 | |
척창 | 隻窓 | |
천거창일 | 川渠漲溢 | |
천세창 | 千歲瘡 | |
천작저창 | 淺酌低唱 | |
천지창조 | 天地創造 | |
천창 | 天窓 | |
천창 | 天槍 | |
천창만검 | 千槍萬劍 | |
천창만검지중 | 千槍萬劍之中 | |
천창만공 | 千瘡萬孔 | |
천창창 | 天蒼蒼 | |
천측창 | 天測窓 | |
천포창 | 天疱瘡 | |
천하명창 | 天下名唱 | |
천행반창 | 天行斑瘡 | |
철도건설창 | 鐵道建設廠 | |
철창 | 鐵窓 | |
철창 | 鐵槍 | |
철창대 | 鐵槍대 | |
철창문 | 鐵窓門 | |
철창살 | 鐵窓살 | |
철창생활 | 鐵窓生活 | |
철창신세 | 鐵窓身勢 | |
청창 | 聽唱 | |
청창 | 淸唱 | |
청창 | 靑蒼 | |
청창법 | 聽唱法 | |
체적팽창 | 體積膨脹 | |
체적팽창계수 | 體積膨脹係數 | |
체팽창 | 體膨脹 | |
체팽창률 | 體膨脹率 | |
초창 | 草創 | |
초창 | 樵唱 | |
초창 | 初創 | |
초창기 | 草創期 | |
초창목적 | 樵唱牧笛 | |
총창 | 銃槍 | |
총창 | 銃創 | |
총창 | 銃瘡 | |
총창술 | 銃槍術 | |
최경창 | 崔慶昌 | |
최창현 | 崔昌玄 | |
최창현 | 崔昌賢 | |
추창 | 推窓 | |
출창 | 出窓 | |
측창 | 惻愴 | |
치창 | 痔瘡 | |
칠성창 | 七星瘡 | |
칠중창 | 七重唱 | |
칠창 | 漆瘡 | |
침음창 | 浸淫瘡 | |
칼라바르종창 | 칼라바르腫脹 | |
쾌창 | 快暢 | |
큰창자균 | 큰창자菌 | |
탄창 | 彈倉 | |
탄창 | 彈創 | |
탕화창 | 湯火瘡 | |
태창 | 太倉 | |
태창 | 泰昌 | |
태창광산 | 泰昌鑛山 | |
택피창생 | 澤被蒼生 | |
통기창 | 通氣窓 | |
통창 | 通暢 | |
통창 | 通敞 | |
통풍창 | 通風窓 | |
통화재팽창 | 通貨再膨脹 | |
통화팽창 | 通貨膨脹 | |
퇴창 | 推窓 | |
퇴창 | 退窓 | |
퇴창문 | 堆窓門 | |
퇴창문 | 推窓門 | |
투정창 | 妬精瘡 | |
투창 | 投槍 | |
투창 | 透窓 | |
특별창고 | 特別倉庫 | |
특수창조설 | 特殊創造說 | |
팔중창 | 八重唱 | |
팽창 | 膨脹 | |
팽창감 | 膨脹感 | |
팽창계 | 膨脹計 | |
팽창계수 | 膨脹係數 | |
팽창률 | 膨脹率 | |
팽창밸브 | 膨脹밸브 | |
팽창부 | 膨脹部 | |
팽창색 | 膨脹色 | |
팽창성 | 膨脹性 | |
팽창슬래그 | 膨脹슬래그 | |
팽창시멘트 | 膨脹시멘트 | |
팽창온도계 | 膨脹溫度計 | |
팽창우주 | 膨脹宇宙 | |
팽창정책 | 膨脹政策 | |
팽창제 | 膨脹劑 | |
팽창주의 | 膨脹主義 | |
팽창판 | 膨脹瓣 | |
평준창 | 平準倉 | |
평창 | 平昌 | |
평창강 | 平昌江 | |
평창고 | 平倉庫 | |
평창군 | 平昌郡 | 지명 |
평창동 | 平倉洞 | 지명 |
평창읍 | 平昌邑 | 지명 |
폐창 | 肺脹 | |
폐창 | 廢娼 | |
폐창론 | 廢娼論 | |
폐창운동 | 廢娼運動 | |
폐풍창 | 肺風瘡 | |
포창 | 疱瘡 | |
포창 | 抱槍 | |
포창 | 褒彰 | |
포창 | 砲槍 | |
포창되다 | 褒彰되다 | |
폭창 | 暴漲 | |
표미창 | 豹尾槍 | |
표창 | 表彰 | |
표창 | 標唱 | |
표창록 | 表彰錄 | |
표창식 | 表彰式 | |
표창장 | 表彰狀 | |
표피창 | 豹皮槍 | |
풍감창 | 風疳瘡 | |
풍독창 | 風毒瘡 | |
풍저창 | 豊儲倉 | |
풍저창위전 | 豊儲倉位田 | |
풍조창 | 風燥瘡 | |
풍창 | 風窓 | |
풍창곡 | 諷唱曲 | |
풍창파벽 | 風窓破壁 | |
피복창 | 被服廠 | |
피창 | 彼蒼 | |
필마단창 | 匹馬單槍 | |
필창 | 筆唱 | |
하감창 | 下疳瘡 | |
하남창 | 下南倉 | |
하사창동 | 下司倉洞 | 지명 |
하양창 | 河陽倉 | |
하창 | 夏昶 | |
학발창안 | 鶴髮蒼顔 | |
학창 | 學窓 | |
학창계 | 學窓界 | |
학창생활 | 學窓生活 | |
학창시대 | 學窓時代 | |
학창시절 | 學窓時節 | |
한극창 | 韓克昌 | |
한창 | 寒脹 | |
한창 | 寒窓 | |
한창 | 寒瘡 | |
한창 | 汗瘡 | |
할창 | 割創 | |
함창 | 檻倉 | |
함창 | 咸昌 | |
함창광산 | 咸昌鑛山 | |
함창읍 | 咸昌邑 | 지명 |
합창 | 合唱 | |
합창 | 合瘡 | |
합창가 | 合唱歌 | |
합창곡 | 合唱曲 | |
합창단 | 合唱團 | |
합창대 | 合唱隊 | |
합창식 | 合窓式 | |
항로표지기지창 | 航路標識基地廠 | |
항만창고 | 港灣倉庫 | |
해군공창 | 海軍工廠 | |
해군보급창 | 해군補給廠 | |
해릉창 | 海陵倉 | |
해운창 | 海運倉 | |
핵종창 | 核腫脹 | |
행창 | 行娼 | |
향창 | 餉倉 | |
헌창 | 軒敞 | |
현창 | 顯彰 | |
현창 | 舷窓 | |
혈풍창 | 血風瘡 | |
협창 | 挾娼 | |
형창 | 螢窓 | |
형창설안 | 螢窓雪案 | |
호남병자창의록 | 湖南丙子倡義錄 | |
호창 | 呼唱 | |
혼성사부합창 | 混聲四部合唱 | |
혼성중창 | 혼성重昌 | |
혼성합창 | 混聲合唱 | |
혼탁종창 | 混濁腫脹 | |
홍반성낭창 | 紅斑性狼瘡 | |
홍반성동창 | 紅斑性凍傷 | |
홍사창 | 紅絲瘡 | |
홍창 | 紅창 | |
홍창회 | 紅槍會 | |
홑창 | 홑窓 | |
화물창 | 貨物艙 | |
화반창 | 火斑瘡 | |
화창 | 火窓 | |
화창 | 和暢 | |
화창 | 話唱 | |
화창 | 火槍 | |
화창 | 和唱 | |
화창 | 畵窓 | |
화창 | 火瘡 | |
환기창 | 換氣窓 | |
환창 | 還窓 | |
황수창 | 黃水瘡 | |
황창랑무 | 黃昌郞舞 | |
회전창 | 回轉窓 | |
획창 | 獲唱 | |
획창한량 | 獲唱閑良 | |
횡창 | 橫窓 | |
효창 | 曉蒼 | |
효창공원 | 孝昌公園 | |
효창동 | 孝昌洞 | 지명 |
효창묘 | 孝昌墓 | |
효창원 | 孝昌園 | |
후시창 | 後視窓 | |
후창 | 厚昌 | |
후창 | 後唱 | |
후창군 | 厚昌郡 | |
후창악사 | 後唱樂師 | |
후창악장 | 後唱樂章 | |
훈호처창 | 焄蒿悽愴 | |
휘창연광 | 輝蒼鉛鑛 | |
흑창 | 黑倉 | |
흑창 | 黑窓 | |
흙창 | 흙窓 | |
흡창 | 吸唱 | |
고정도창법 | 固定도창법 | |
공작창장 | 공작창長 | |
궁창분합 | 궁창分閤 | |
궁창초 | 궁창草 | |
금창약 | 금창藥 | |
금창초 | 금창草 | |
난간궁창 | 欄干궁창 | |
노창자 | 노창者 | |
대창옷 | 大창옷 | |
막창자꼬리판 | 막창자꼬리瓣 | |
부창방 | 浮창방 | |
불이창자관 | 불이창자管 | |
사창제 | 사창制 | |
샘창자소식자법 | 샘창자消息子法 | |
샘창자염 | 샘창자炎 | |
손창방 | 손창房 | |
영창금고 | 영창禁錮 | |
이동도창법 | 移動도창법 | |
이동성막창자 | 移動性막창자 | |
장창 | 長창 | |
중창 | 中창 | |
창도자 | 창도者 | |
창면 | 창麵 | |
창모 | 창矛 | |
창밤나빗과 | 창밤나빗科 | |
창상 | 창床 | |
창자벽 | 창자壁 | |
창자액 | 창자液 | |
창포강 | 창포江 | |
창호재료 | 창호材料 | |
큰창자균 | 큰창자菌 | |
홍창 | 紅창 |
Hanja (한자, 漢字) merujuk kepada aksara Cina yang diadaptasi ke dalam bahasa Korea, secara sejarah berfungsi sebagai sistem penulisan utama di Korea selama lebih satu milenium sebelum penciptaan Hangeul pada abad ke-15. Berakar umbi dalam bahasa Cina klasik, Hanja memainkan peranan asas dalam membentuk perbendaharaan kata Korea, terutamanya dalam konteks akademik, undang-undang, agama dan sastera. Kira-kira 60% daripada perkataan Korea moden berasal daripada akar bahasa Cina-Korea, menjadikan Hanja penting untuk memahami makna yang bernuansa, homonim dan istilah khusus dalam bidang seperti undang-undang, perubatan atau sejarah.
Walaupun Hangeul, abjad fonetik Korea, menggantikan Hanja sebagai skrip harian, Hanja kekal penting dari segi budaya dan bahasa. Ia masih digunakan dalam dokumen rasmi, nama peribadi, teks sejarah, dan tajuk akhbar untuk menjelaskan makna atau menyampaikan formaliti. Bagi pelajar, mempelajari Hanja meningkatkan pengekalan perbendaharaan kata, mendalami pemahaman perkataan majmuk (cth, \"학교\" [學校, sekolah] atau \"의사\" [醫師, doktor]), dan merapatkan hubungan dengan bahasa Asia Timur yang lain seperti Cina dan Jepun.
Hari ini, Hanja diajar secara selektif di sekolah Korea Selatan, selalunya sebagai elektif, tetapi warisannya berterusan sebagai kunci untuk membuka kunci warisan sastera dan ketepatan linguistik Korea. Sama ada mentafsir teks kuno atau jargon moden, Hanja kekal sebagai benang penting dalam permaidani bahasa dan budaya Korea.